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대엘리베이터4

엘리베이터 정밀안전검사 대비 추가 안전창치 종류 만 21년이 경과하여 3번째 정밀안전검사를 받는 엘리베이터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 소유자 2/3 동의 하에 4번째 정밀안전검사 시) 개정된 승강기 안전관리법에 의거한 안전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일 그때까지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검사에 불합격하여 엘리베이터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3차 정밀안전검사 시에 갖춰야 하는 안전장치들 중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와 승강장 문 이탈방지 장치, 로프 브레이크 (개문출발방지 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에 따른 안전검사 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50자 가량 소개글 쓰기 (인사말 xx) 엘리베이터 정밀안전검사 대비 추가 안전창치 종류 ≪ 목차 ≫ 1.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2. 승강장 문 이탈방지 장치 3. .. 2023. 3. 8.
한국 승강기의 역사 - 도시개발과 1960년대 승강기 사업은 건축사업 혹은 도시개발 사업과 흐름을 같이합니다. 즉, 도시가 활발히 개발될수록 승강기의 수요도 늘게 되며 함께 성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성장이 폭발적으로 이뤄진 시기는 박정희 군사정부가 등장하며 정부 주도로 대규모 도시개발이 이뤄지던 60년대였습니다. 한국 승강기의 역사 - 도시개발과 1960년대 ≪ 목차 ≫ 1. 박정희 정부의 등장과 도시개발정책 2. 승강기 '사업'의 등장 1. 박정희 정부의 등장과 도시개발정책 일제강점기부터 그대로 시행되어 온 건축법과 도시계획법에 한계를 느낀 박정희 군사정부는, 1962년 건축법과 도시계획법을 새로 재정해 공표합니다. 박정희 정부는 새로운 법을 통해 서울을 현대 도시로 탈바꿈하고자 했습니다. 장충체육관, 마포아파트, 한일병원, 워커힐, 자유센터.. 2023. 2. 26.
한국 승강기의 역사 - 한국전쟁 이후 한국 전쟁 이후 외국에서 받는 원조와 수입에 의존도가 커지면서 많은 수입상들이 등장했습니다. 이들이 수입한 것 중에 하나는 '승강기'였습니다. 이와 함께 국가 재건으로 승강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 자체의 승강기 제작까지 발전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습니다. 1950년 대 ~ 1960년 대의 한국 승강기 사업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승강기의 역사 - 한국전쟁 이후 ≪ 목차 ≫ 1. 승강기 수입의 증가 2. 국산 승강기의 등장 1. 승강기 수입의 증가 '미국무역'회사가 오티스엘리베이터를 수입하고, 한국승강기제작소 (전신: 서울승강기공업사)에서 이를 설치 및 보수하는 공식은 곧 많은 수입회사들이 등장하며 깨지게 되었습니다. 1957년부터 큰 규모의 무역상사들이 등장하.. 2023. 2. 25.
승강기 사고 방지를 위한 일상 점검과 관리 방법 엘리베이터의 관리주체 및 안전관리자에게는 승강기가 잘 운행되고 있는지를 일상적으로 점검, 관리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승강기 일상 점검, 관리 시 확인해야 할 사항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승강기 사고 방지를 위한 일상 점검과 관리 방법 ≪ 목차 ≫ 1. 승강기를 매일 점검, 관리해야 하는 이유 2. 승강기 일상 점검 시 확인 사항 3. 승강기 일상 관리 시 확인 사항 1. 승강기를 매일 점검, 관리해야 하는 이유 승강기 안전사고 방지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승객을 보호하고 승강기가 문제없이 운행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승강기 품질 유지 승강기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의장 부분에서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승강기 수명 연장 승강기의 이상을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으.. 2023. 2. 22.
반응형